워크넷 > 취업가이드 > 채용트렌드 > 2023년 일자리 전망 > 2023년 일자리 사업 방향
스크랩 처리 되었습니다.

스크랩된 채용정보의 마감 3일전부터 알림을 받아보시겠어요?

메뉴 > 환경설정 > PUSH 알림 설정에서 변경 가능합니다.

닫기

2023 채용트렌드

2022년 하반기 KDI 경제전망에 따르면 2023년에도 고용 여건은 양호하겠지만, 취업자 수의 증가폭은 크게 축소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채용 시장의 변화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2023년 고용 시장의 변화와 채용 시장의 모습을 예상하여 취업을 준비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2023년 일자리 전망

2022년 하반기는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비대면·디지털경제와 관련된 노동 수요가 증가하여 이례적인 고용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경제 둔화,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위축 등 다양한 국내외 경제 요인과 함께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채용 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2023년의 고용 시장을 예측해보고 취업 준비 전략을 세워보시기를 바랍니다.

2022년 일자리 전망 다시 보기
  • ·‘2021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비대면·디지털 및 일부 대면업종 고용 증가
  • ·‘2022년 및 중기 경제전망’에서 경기회복과 소비활동 회복으로 인한 2022년 고용 증가 전망
  • ·2022년 일자리 예산은
    ‘미래에 대한 투자’ 중심으로
    창업지원과 고용서비스,
    직업훈련 부문에서 증가
2023년 일자리 전망 한눈에 보기
  • ·2023년에도 양호한 고용 여건이 이어지겠으나, 2022년에 비해 취업자 수 증가폭(-70.7만명)은 크게 축소될 전망
  • ·‘2022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제조업과 대면·비대면 서비스업의 고용 증가
  • ·2023년 일자리 예산은 양질의
    민간일자리 창출을 위한
    직업훈련, 창업지원, 장애인
    지원유형에 투자 확대

2023년 일자리 사업 방향 : 미래 대비 집중 투자

2023년 일자리 예산은 작년에 이어, 위기 대응에서 '미래 대비 집중 투자'로 일자리 사업 예산을 재구조화하면서 전반적으로 감축하여 재정건전성을 확보하였습니다. 2023년 일자리 예산은 총 30조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1.5조 원(4.9%)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고용유지지원금 등 고용장려금에서 큰 폭으로 감액 조정하였고, 대신 양질의 민간일자리 창출을 위해 직업훈련, 창업지원, 장애인 지원유형투자를 확대하였습니다.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면 일자리 예산, 정부의 추진 정책 등을 참고하여 취업 준비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직업훈련과 창업지원 등을 파악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3년 일자리 예산안 유형별 규모 (억원, 만명, %)

일자리 사업(183개): 2022년(315,809억), 2023년(300,340억), 전년대비 -4.9% / 직접일자리(29개): 22년(24,785억), 23년(31,177억), 전년대비 -2.8% / 직업훈련(43개): 22년(24,785억), 23년(27,271억), 전년대비: 10% / 고용서비스(36개): 22년(18,922억), 23년(17,615억), 전년대비 -6.9% / 고용장려금(25개): 22년(65,263억), 23년(50,981억), 전년대비 -21.9% / 창업지원(26개): 22년(28,376억), 23년(29,397억), 전년대비 3.6% /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12개): 22년(137,715억), 23년(134,351억), 전년대비 -2.4% / 지원고용 및 재활(12개): 22년(8,668억), 23년(9,548억), 전년대비 10.2%

출처 : 고용노동부, ‘8.30 2023년 일자리사업 예산안(일자리정책평가과)’, 2022.08.30, p2

2023년 일자리 예산안

  • 저성과 사업 구조조정으로 재원 마련
    • ·코로나19 일상회복에 따라 지원금 수준 정상화
    • ·저성과 사업 구조조정(폐지, 민간위탁, 사업 간 조정 및 감액)
  • 전략산업 및 기업 맞춤형 직업훈련 집중 확충
    • ·미래전략산업(디지털, 바이오, 미래자동차, 나노 등) 및 국가기간산업 인재 양성
    •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관련 학과 및 훈련센터 신설
    • ·산업전환 훈련 지원 및 기업 맞춤형 훈련 강화
  • 기업과 구직자를 위한 고용서비스 고도화
    • ·기업·구직자 도약 보장 패키지 신설
    • ·고용복지센터 중심 기관 통합 등 전달체계 효율화
    • ·청년 도약준비금 신설 및 일경험 확충 등 청년 취·창업 지원 확대
  • 고용안전망 확충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 지원
    • ·사회보험료 지원 확대
    • ·다양한 욕구 충족이 가능한 시장형 노인 일자리 확대
  • 지역 고용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
    • ·농촌 등 지역 구인난 심화 지역 지원 확대
    • ·고령자의 직무능력 및 노하우 활용을 위한 지원금 확대
    • ·일하는 부모 지원 확대(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및 육아휴직급여 증액)
링크복사

아래의 URL을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

닫기
맨 위로 이전 화면으로